역량 관련
-
[논리적 글쓰기] 셀프 체크리스트역량 관련 2021. 5. 14. 16:27
메시지 구성 체크 도입부 구성 글의 첫머리에 도입부가 있는가? 도입부에 필수 요소인 글의 '주제'와 읽는 사람에게 '기대 반응'이 명시되어 있는가? 기대 반응이 구체적이고 명시적인가? 필수요소 외에 필요한 요소가 있다면 그 것도 설명하고 있는가? 이러한 주제로 문서를 쓰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? 기대반응을 보여줌으로써 읽는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? 쓰는 사람은 누구인가? 왜 이 사람이 정보를 발신하는가? 읽는 사람은 누구인가? 왜 이 사람이 읽어야 하는가? 본론에 관한 특기사항(정보원, 초기 제안 or 최종 제안? 본론의 위치, 본론의 주안점)은 무엇인가? 본론의 구성 대답해야 할 질문에 충분히 대답했는가? 각각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So What? Why So? 했는가? 대답의 핵인 결론은..
-
논리적 글쓰기역량 관련 2021. 5. 14. 14:33
'이 문서를 통해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할 것인가' - 발신자, 수신자, 주제, 대답(내용), 기대반응 - 문서 작성의 목적은 '대답'을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, 문서를 통해 읽는 사람으로부터 원하는 반응과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다. 문서 작성의 기본 = '무엇에 대해, 무엇을 위해, 누가, 누구에게 쓰는가?' '무엇을 쓸 것인가?'와 '어떻게 구성할 것인가?'를 고민하기 전에 글의 주제와 기대 반응을 중심으로 '커뮤니케이션의 환경 설정'을 확실히 할 것! 커뮤니케이션의 환경 설정 주제 확인 구체적으로 정하기: 주제에 대해 읽는 사람이 물어볼 '질문' 예상해보기 이끌어내려는 기대반응 확인 '이해시킨다', '피드백을 구한다', '행동을 취하게 한다' 읽는 사람 확인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 주제를 생각하기 읽는..
-
트리즈(TRIZ)의 전체 구성역량 관련 2021. 5. 13. 13:40
문제의 특성 해결 원리 정형화된 표준문제 모순 문제 기술적 모순 40가지 발명 원리 물리적 모순 4가지 분리 원리 물질 상호 작용 Su-Field 분석 & 76가지 표준 해결책 달성해야 할 유익할 기능 Faction Model 정형화되지 않은 비표준문제 창의적 문제해결 ARIZ 미래 문제 얘측 Prediction & 진화 법칙 40가지 발명 원리 1. 분할 (Segmentation): 쪼개거나 나눔 2. 추출 (Extraction): 필요한 부분만 추출 3. 국소품질 (Local quality): 부분의 상태나 품질을 바꿈 4. 비대칭 (Asymmetry): 대칭 → 부분 비대칭 5. 병합 (Merging) - 시간과 공간: 작업 또는 공간을 통합 6. 범용성 (Universality): 하나의 부품을 ..
-
맥킨지 문제해결 프로세스 7 Steps역량 관련 2021. 5. 13. 13:03
3 가지의 기본 원리 사실 기반(Fact-Based):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사실을 기반으로 판단 부분의 합 = 전체 (MECE): 분석하는 대상에 대해 빠진 것 없이 전체를 포함하는 사고 가설 주도(Hypothesis-Driven): 해결에 가까워지는 가설들을 증명하는 과정으로 진행 7 Steps Step 1: 문제의 정의 서로 다른 문제 정의로 에너지 낭비가 되지 않도록 문제를 정확하게 설정 Step 2: 세부 이슈 구조화 이슈 분석이 쉽고 명료할 수록 해결 가능한 수준으로 쪼개서 구조화 Step 3: 이슈 우선순위 설정 문제 해결에 들어가는 비용 대비 효과를 키우기 위해 이슈의 우선 순위에 따라 자원을 배분 Step 4: 이슈 분석 계획 수립 문제 해결 프로젝트의 운영을 위해서 필요한 작업 및 담당..